Studying/Java
[IT 용어] 암호화, 복호화
YOO'sssss
2023. 8. 8. 16:04
평문 (암호화 되지 않은 데이터) 을 암호문으로 바꿔주는것이 암호화이며 암호문을 다시 평문으로 바꿔주는 것이 복호화
암호화
중요한 자료를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문으로 변화하는 과정
암호문의 형태로 정보를 기억장치에 저장하거나 통신회선을 통해 전송함으로써 정보를 보호.
자신이 통신하고 있는 데이터(정보)를 숨길 수 잇는 역할을 하며 해킹을 당하더라도 암호화된 데이터를 해킹당하면 그 암호문을 다시 복호화하는데 어렵기 때문에 사용.
복호화
암호문을 원래 데이터로 변환하는 과정
암호화 과정의 역과정으로 암호 알고리즘에 의하여 암호문을 평문으로 바꾸는 과정
복호화 키를 갖고 있는 사람 외에는 올바른 정보로 복원할 수 없으므로 복호화 키가 제 3자에게 알려지지 않으면 정보는 보호 된다.
- 암호 알고리즘
데이터 암호화를 하기 위해서 암호 알고리즘이 쓰이고 대칭형 암호와 비대칭형 암호 2가지로 나눔
- 대칭형 암호 : 암호화 할 때 사용하는 키와 복호화할때 사용한 키가 동일
- 대칭형 암호 단점 : 전달하는 측에서 암호화 할 때 사용한 키를 받는 측에 전달해야하는데 전달하는 과정에서 암호키가 해킹당할 위험이 있다.
- 비대칭형 암호 : 암호화 할 때 키와 복호화 할때 사용하는 키가 다름
- 비대칭형 암호 방식 :
- 클라이언트 쪽에서 서버의 공개키로 데이터를 암호화
- 암호화된 데이터를 서버에 전송
- 서버에서 자신의 비밀키를 가지고 암호화 데이터를 복호화
- 비대칭형 암호 장점
- 클라이언트에는 공개키로 암호화하고 실제로는 복호화 할때 서버쪽에서만 알 수 있는 비밀키로 복호화하기 때문에 중간에 공개키가 해킹당해도 상관 없음
- 비대칭형 암호 단점
- 대칭형 암호 방식에 비해 현저하게 느림
- 비대칭형 암호 방식 :
참고 : https://dany-it.tistory.com/1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