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PI Key 방식 가장 기초적인 방법은 API Key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API Key란 특정 사용자만 알 수 있는 일종의 문자열이다. API를 사용하고자 할 때, 개발자는 API 제공사의 포탈 페이등 등에서 API Key를 발급 받고, API를 호출할 때 API Key를 메시지 안에 넣어 호출한다. 서버는 메시지 안에서 API Key를 읽어 이 API가 누가 호출한 API인지를 인증하는 흐름이다. 모든 클라이언트들이 같은 API Key를 공유하기 때문에 한번 API Key가 노출이 되면 전체 API가 뚫려 버리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높은 보안 인증을 요구 하는 경우에는 권장하지 않는다. API Token 방식 다른 방식으로는 API Token을 발급하는 방식이 있는데, 사용자 ID,PASSWD등으로..

출처 : [Spring] 이클립스(Eclipse) 스프링(Spring) MVC 프로젝트 구조 및 로직 흐름 (tistory.com)

출처 : [Annotation] Servlet Annotation @WebServlet vs @Controller - Heee's Development Blog (gmlwjd9405.github.io)

contains (문자열 포함 여부 확인) contains() 함수는 대상 문자열에 특정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함수 - 대/소문자를 구분. - 찾는 문자열이 문자열 변수에 포함되어있는 경우 return 값으로 True, 포함되어있지 않을 경우 return 값으로 false를 보내줌 - 문자열 안에 해당 문자열이 있을때 예외처리를 하기 위해 사용하기도 함. if (fileName.contains("거")) { // contains( ) : 문자열 포함 여부 확인 // 경로 + 바뀌는 이름 File newFile = new File(dir + "\\" + "Cyc"+lastfileName); System.out.println("newFile>>" + newFile); boolean result ..

// 퍼머링크 // 중괄호의 값으로 보드 넘버를 씀 @GetMapping("/boardOne2/{boardNo}/test") // http://localhost/boardOne2/11/test public Integer boardOne2(@PathVariable(value="boardNo") int boardNo) { // 주소에서 받아서 씀 log.debug("/boardOne2 boardNo : "+boardNo); return boardNo; } @RestController // 모든 반환타입을 rest로 리턴 @SessionAttributes(value="loginId") // 모델속성중 loginId라는 키는 생명주기가 세션과 동일 @RequestParam에 required 옵션을 주어 true..

@PathVariable 출처 : https://byul91oh.tistory.com/435 출처 : [Spring Boot] @Valid 어노테이션으로 Parameter 검증하기 (tistory.com)